집밥대신에 외식 지난해에 엥겔지수는 역대 최저기록
소득 하위 20%는 아직도 소비지출의 20%를 먹거리에 사용.
가계의 소비지출 대비의 식료품 비중을 뜻하는 엥겔지수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고 합니다.
식료품과 같은 필수 지출이 줄면서 가계의 여유 자금들이 많아졌다는 면에서는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가 있습니다.
다만 저소득층의 경우엔 아직도 소비지출 20%가 먹을거리에 묶여 있어서 살림살이가 빠듯헐 것으로 분석이 됐습니다.
25일의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에 가계의 식료품·비주류 음료 지출은 34만9천원이었습니다.
전체 소비지출(255만원) 대비 식료품비 비중인 엥겔지수는 13.70%로 2003년 관련된 통계들을 집계하기서 시작을 한 이래 가장 낮았습니다.
엥겔지수는 2004년 15.06%를 기록한 이후에 2005년 14.61%, 2007년 13.78%로 점차 낮아졌습니다.
이후의 오름세와 내림세를 반복하긴 했으나 추세적으론 내리막길을 걸으면서 2014년 13.77%까지 낮아졌다가 2년 만에 최저치를 다시 썼습니다.
통계청 관계자들은 엥겔지수가 낮아지는 데 대해서 "소비량이 줄고서 가격이 내려가 곡물 부문 소비지출들이 감소를 한 영향들이 큽니다"라며 "집에서 밥을 해먹기보다는 외식들이 증가하는 영향들도 있습니다"라고 설명을 전했습니다.
먹을거리 지출들이 상대적으로 줄면서 가계는 오락·문화, 보건, 교육 등 다른 상품·서비스 지출들을 늘릴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소득분위별로 엥겔지수 감소 폭은 차이가 났습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지난해 엥겔지수는 평균보다 6.74%포인트 높은 20.44%였습니다. 여전히 소비지출의 20%가 식료품비로 고스란히 들어가는 셈입니다.
감소 폭도 미미했습니다.
2003∼2016년 사이에 전체 평균 엥겔지수는 1.30%포인트 떨어진 데 반해서 소득 1분위의 감소 폭은 전체 분위 중 가장 작은 0.31%포인트에 그쳤습니다.
반면에 고소득층일수록 감소 폭은 커져서 5분위의 엥겔지수는 1.56%포인트(12.65%→11.09%), 4분위(14.14%→12.68%)는 1.46%포인트 낮아졌습니다.
2분위는 1.25%포인트 낮아진 15.57%, 3분위는 0.84%포인트 떨어져서 14.24%를 기록했습니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는 "상대적으로 음식료품 지출 비중들이 줄어드는 경향들이 있지만 저소득층은 외식을 많이 하지 못하고 오락, 문화 등 사치재적 소비지출들을 많이 하지 못하다 보니 엥겔지수 감소 폭이 작습니다"라고 설명을 했습니다.
한편 연령별로는 60세 이상 가구주의 엥겔지수가 19.34%로 가장 높았다고 합니다. 2003년(20.56%)과 견줘 1.22%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전체 연령대에서 감소 폭이 가장 작았습니다.
40대 가구주의 감소 폭은 그다음으로 작은 1.71%포인트(14.13%→12.42%)였습니다.
39세 이하 가구주의 엥겔지수는 1.77%포인트(14.32%→12.55%), 50대는 2.47%포인트(15.31%→12.83%)로 떨어졌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x청춘열차 시간표와 노선들 예매방법에 대해서 설명. (0) | 2017.03.26 |
---|---|
면세점 이용한도 면세점 한도금액은 얼마!? (0) | 2017.03.26 |
전두환 최순실의 원수라고!? 허화평 박근혜 대통령과 사이가 멀어진 이유는 과연? (0) | 2017.03.25 |
갤럭시s8 성능 공개 기대감 상승률 급증하다. (0) | 2017.03.24 |
세월호 인양작업 해상 전문용어 반잠수식 선박,잭킹바지선,리프팅빔 용어정리. (0) | 2017.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