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인 47% 자녀가 독립못해 같이동거중...
서울시가 자녀와 함께 사는 서울시내 60세 이상 중 47%가량이 부양을 받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녀를 부양하기 위하여 어쩔수없이 동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따라 21일 서울시 통계를 보면 지난해 기준으로 60세 이상 중 45.2%는 자녀와 함께 살고 있으며 그나머지 54.8%는 따로 살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자녀와 함께 사는 60세 이상 중 39.7%는 자녀와 동거 이유로써 '경제적·건강상 이유로 자녀의 독립생활이 불가능해서'라고 답했습니다. 또한 '손자녀 양육과 자녀 가사지원을 위해서'라고 답한 6.8%까지 포함하면 대략 46.5%가 자녀 부양을 위하여 동거하는 셈인겁니다.
한편 수입·건강상 문제로 부모 본인의 독립생활이 불가능해서 동거한다는 답은 30.6%이며 모두의 독립생활이 가능하지만 같이 살고 싶어서라는 답은 16.5%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자녀와 따로 사는 이유로는 '따로 사는 것이 편해서'가 35.3%로 가장 많았으며 그밖에 '독립생활이 가능해서'(34%), '자녀에게 부담될까 봐'(23%)가 뒤를 이었습니다.
이어 60세 이상 시민 중 11.3%만이 자녀가 노후생활을 책임져줄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0대 미만인 50대 이하 연령층에선 자녀의 지원을 기대한다는 답변이 60대에 비해서 현저히 적었습니다. 50대 2.2%, 40대 1.8%, 30대 1.3%, 20대 1%, 10대 0% 등이었습니다.
이어서 만 15세 이상 시민 중 자녀가 부모의 노후를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2002년 64.8%에서 2012년 28.7%로 급감또한 아주컷습니다.
또한 부모의 노후생계가 가족, 정부, 사회의 공동책임이라는 견해는 같은 기간 22.3%에서 54%로 증가하였고, '부모가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도 2006년 7.7%에서 13.6%로 늘었습니다.
특히나 60세 이상 중 73.8%는 노후에도 소득창출 활동을 희망했으며. 그중 39.2%가 적정 은퇴 시기를 65∼69세로 꼽았으며, 70세 이상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27.1%나 됐습니다. 이들의 은퇴 후 희망 소득은 10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이 38.3%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밖에도 손자녀를 대신 키워주는 '황혼육아'에 대해선 71.8%가 희망하지 않거나 '그저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이 포스트는 서울이용학원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입니다. 대한민국 1등 유망자격증 이용사자격증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리틀야구 영원한라이벌 한일전 승리하다! (0) | 2014.08.21 |
---|---|
`마담 뺑덕` 파격스킨십 티저예고편? (0) | 2014.08.21 |
남경필 이혼..언제부터 불화설? (0) | 2014.08.20 |
애플 100.53달러로 주가 또 최고치 기록.. (0) | 2014.08.20 |
맨유 드뎌 로호 영입완료! 공식발표.. (0) | 2014.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