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복비계산 방법 알아보기 꿀팁
안녕하세요. 고향을 떠나서 자취를 하다보니까 1~2년에 한번씩 집계약고민... 월세집을 알아보게 됩니다. 저 뿐만 아니라 타 지역에 가서 취직을 한 청년들이나 대학에 새로이 입학을 하는 학생들은 집을 구하게 되는데 요즘엔 전세집을 구하기도 어려울뿐더러 집값과 맞먹는 가격이기 때문에 목돈이 필요 없는 월세방을 알아보게 됩니다.
집을 알아볼때 네이버카페 피터팬이나 직방, 다방과 같은 앱들로 검색을 하는 경우도 많이 있지만, 많은 분들이 계약은 매물들이 위치를 하고있는 동네의 부동산을 통해서 알아보게 됩니다. 부동산을 통할 경우엔 월세 복비를 지불하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월세 복비 계산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네이버에서 "부동산중개보수계산기" 검색을 하시기 바랍니다. 검색을 하면 위와 같은 화면들이 나오게 됩니다.
우선 자신이 집을 구하는 지역들을 선택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 후에, 종류는 주거용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주거용이라 함은 일반 원룸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오피스텔을 알아보시는 분들을 오피스텔을 따로 선택을 하셔야 됩니다. 그리고 거래유형에는 매매, 전세, 월세로 나뉘어져 있는데 월세를 선택하세요.
그리고 계약하게 될 집의 보증금과 월세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설명드리기 위하여 저는 보증금으로 5천만원을 입력을 하고 월세로 30만원을 입력했습니다. 이 경우엔 월세 복비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거래금액은 8천만원으로 계산이 됩니다. 보증금액+(월세금액*100) 으로 거래금액이 잡혔습니다. 상한요율은 0.4%가 적용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거래금액 곱하기 상한요율이 월세 복비로 계산이 됩니다.
부동산에서 받을수 있는 중개복비는 최대 300,000원으로 정해져 있기때문에 초과분은 계산이 되지 않았습니다.
여기까지 월세 복비 계산 방법들에 관련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집을 구하시는 분들은 미리 꼼꼼하게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